반응형
원인분석은 사고나 문제가 발생한 원인을 찾아내는 과정으로, 위험성 평가에서도 중요한 과정 중 하나입니다. 원인분석에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가 결과법이 있습니다.
결과법은 이미 발생한 사고나 문제의 결과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방법입니다. 즉, 발생한 결과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일으킨 원인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칩니다.
- 문제의 결과를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제품의 결함으로 인한 안전사고, 공정의 문제로 인한 제품 불량 등을 정의합니다.
- 결과를 일으킨 원인을 파악합니다.
결과를 일으킨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안전사고의 경우에는 설계 결함, 작업 방법의 부적절성, 인적 요인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원인의 근본적인 요인을 파악합니다.
원인을 파악할 때는, 단순히 결과를 일으킨 원인뿐만 아니라, 그 원인이 발생한 근본적인 이유를 파악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설계 결함의 원인이 부적절한 설계 기준이나 부적절한 설계 프로세스라면, 그 원인을 발생시키는 근본적인 이유를 파악해야 합니다.
-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제안합니다.
원인분석을 통해 파악된 원인에 대해서는,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제안해야 합니다. 이 때, 제안된 대책이 실제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인지, 그리고 다른 문제를 유발하지 않는지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결과법은 이미 발생한 사고나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방법입니다. 그러나 예방적인 관점에서 위험성 평가를 수행할 때는, 결과법뿐만 아니라 다른 방법들도 함께 사용하여 더 체계적인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안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류법(2) (0) | 2023.03.16 |
---|---|
분류법 (0) | 2023.03.16 |
위험도 행렬 (0) | 2023.03.16 |
위험성 평가 정량적 및 정성적 방법 (0) | 2023.03.16 |
위험성 평가를 공부하기 위한 자료 (0)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