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성적 방법은 주로 전문가의 주관적인 판단을 기반으로 위험성을 평가합니다. 이 방법은 주로 예측에 의존하며, 통계적인 증거나 수치적인 자료가 없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정성적 방법으로는 위험도 행렬(Risk Matrix), 원인-결과 분석법(Cause and Effect Analysis), 분류법 등이 있습니다.
 

  • 위험도 행렬(Risk Matrix) : 위험요소의 심각도와 발생확률을 2차원 행렬에 나타내어 위험도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각 위험요소에 대해 선정된 기준에 따라 위험도를 평가합니다.
  • 원인-결과 분석법(Cause and Effect Analysis) : 위험을 발생시키는 원인과 그 결과를 찾아내는 방법입니다. 각 원인과 결과를 논리적인 관계도로 나타내어 위험성을 파악합니다.
  • 분류법 : 위험을 크게 분류하고, 분류된 위험의 심각도와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대표적으로 위험군별 평가, 위험유형별 평가, 위험원인별 평가 등이 있습니다.

 
정량적 방법은 수치적인 자료를 이용하여 위험성을 계산합니다. 이 방법은 정량적인 측면에서 더욱 정확하며, 통계적 분석에 기초합니다. 대표적인 정량적 방법으로는 확률적 위험평가법(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PRA), 실패모드 및 영향성 분석(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FMEA), 이벤트 트리(Event Tree) 등이 있습니다.
 

  • 확률적 위험평가법(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PRA) : 확률이나 통계적 분석을 사용하여 위험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각 위험요소의 발생확률, 심각도, 영향 등을 고려하여 위험성을 계산합니다.
  • 실패모드 및 영향성 분석(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FMEA) : 제품, 시스템, 공정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실패 모드를 식별하고, 이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각 실패 모드의 발생확률, 심각도, 검출성 등을 고려하여 위험성을 계산합니다.
  • 이벤트 트리(Event Tree) : 특정 사건이 발생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결과를 나열하고, 각 결과의 발생 확률과 심각도를 계산하여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위험성평가는 자원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이므로,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위험성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대응책을 수립하고, 주기적으로 평가를 수행하여 안전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반응형

'안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인분석 결과법  (0) 2023.03.16
위험도 행렬  (0) 2023.03.16
위험성 평가를 공부하기 위한 자료  (0) 2023.03.16
위험성 평가 종류  (0) 2023.03.16
해외 위험성 평가(아마존)  (0) 2023.03.16

+ Recent posts